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깃허브(GitHub) 사용법 기초 – 초보자 가이드

by 쿨쿨머니 2025. 9. 3.

1. 깃허브, 왜 중요한가?

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이름, GitHub. 이는 단순한 코드 저장소가 아니라, 전 세계 개발자들이 협업하고 학습하는 플랫폼입니다.

깃허브를 활용하면:

  • ✔ 코드를 안전하게 보관
  • ✔ 버전 관리로 작업 이력 추적
  • ✔ 팀 단위 협업과 리뷰
  • ✔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

따라서 입문 단계에서부터 깃허브를 배우는 것은 개발 역량을 키우는 중요한 루틴입니다.

2. GitHub 계정 만들기

깃허브를 시작하려면 먼저 계정을 생성해야 합니다.

  1. github.com 접속
  2. ② 이름, 이메일, 비밀번호 입력 후 회원가입
  3. ③ 인증 메일 확인 → 계정 활성화
  4. ④ 프로필 사진, 사용자 이름 설정

여기까지 완료하면 개인 깃허브 프로필이 생성됩니다.

3. 깃허브의 핵심 개념

Repository(저장소)
코드를 저장하는 공간. 프로젝트 단위로 생성하며, 오픈/비공개 설정 가능.
Commit
변경 사항을 저장하는 행위. ‘저장 시점’을 기록한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.
Branch
코드의 분기점. 새로운 기능을 독립적으로 개발한 후 메인 코드와 합칠 수 있습니다.
Pull Request
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메인 저장소에 반영해달라고 요청하는 것.

4. GitHub 기본 사용법

저장소 만들기

  1. ① GitHub 메인 페이지 → "New repository" 클릭
  2. ② 저장소 이름 입력
  3. ③ 공개/비공개 여부 선택
  4. ④ "Create repository" 클릭

코드 업로드

브라우저에서 직접 파일 업로드 가능. 또는 git push 명령어로 로컬 프로젝트를 연동할 수 있습니다.

Commit 하기

코드 수정 후 "Commit changes" 버튼을 누르면 변경 이력이 저장됩니다.

Branch 생성

저장소 상단에서 "New branch"를 클릭하면 새로운 작업 영역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5. 협업 기능 활용하기

  • ✔ 팀원 초대 – 저장소 설정에서 Collaborators 추가
  • ✔ Pull Request – 기능 개발 후 코드 합치기 요청
  • ✔ Issues – 버그 리포트 및 개선 아이디어 기록
  • ✔ Actions – CI/CD 자동화 워크플로우 설정

이 기능들을 활용하면 단순 저장소를 넘어, 완전한 협업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6. 초보자를 위한 GitHub 루틴

  1. ① 하루 10분, GitHub에 공부한 코드 업로드
  2. ② 주 1회 Commit 기록 점검
  3. ③ 간단한 오픈소스 저장소에 Issue 남겨보기
  4. ④ 작은 프로젝트라도 Branch를 활용해 기능 분리

이 루틴만 꾸준히 지켜도 1년 후에는 훌륭한 GitHub 포트폴리오가 완성됩니다.

7. 결론 – 깃허브는 개발자의 필수 도구

깃허브는 단순히 코드를 저장하는 공간을 넘어, 개발 학습·협업·포트폴리오 관리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

오늘 소개한 기초 사용법을 직접 실습해보면서, 점차 브랜치·이슈·풀리퀘스트 같은 기능도 익혀보세요.

GitHub를 잘 활용하면, 개발자 커리어의 문이 훨씬 더 넓게 열릴 것입니다.